![](https://blog.kakaocdn.net/dn/cv5DyL/btrZ6IzqkjB/8qQ6eZONXm2WRBTOPXnkX1/img.jpg)
날씨: 대체로 흐림
대표빌더 : 정수호 (7시간)
부팀장 : 손호현 (휴무)
팀 원 : 오경택 (7시간), 최영광 (7시간), 김종협 (7시간)
지 원 : 정태영 (7시간), 권재홍 (7시간), 김승우 (7시간), 조길환(7시간)
금일품수 (누계) : 7.00품 (총 156.875품)
금일 작업현황
- 세라믹 사이딩 각상 작업
- 세라믹 사이딩 시공
- 수성연질폼 단열 시공
2/22(수) 예정작업
- 세라믹 사이딩 각상 작업
- 세라믹 사이딩 시공
안녕하세요, 오늘은 영종도 운서동 직영집짓기 18일차입니다.
'농작물은 농부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이야기를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농작물이 잘 자라기 위해서는 그만큼 농부가 부지런해야 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건축물은 빌더의 손길로 자란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건축물의 완성도 역시 빌더의 눈길 한번, 손길 한번이 더해질 수록 더 좋아지는 것은 자명한 일이니까요.
벽체 마감 시공이 진행중입니다.
벽체 마감재는 세라믹 사이딩으로 마감재 패널을 한 장씩 이어붙이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어지는 각 패널들을 정밀하게 재단 및 시공하여 하나의 벽체로 일체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깔끔한 마감을 위해서는 패널 한 장씩 붙이면서 수직, 수평과 간격을 매번 확인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AIrDm/btrZ2yD5ER8/wdKQKF34itMz6Gs05DyFl0/img.jpg)
각상에 전용 클립을 이용하여 피스로 고정한 모습
![](https://blog.kakaocdn.net/dn/bwIs4K/btrZ78jNfNf/wZHFfTcBKTBT4CsyEdt551/img.jpg)
세라믹 사이딩의 일반적인 장점은
- 세련되고 도시적인 느낌의 디자인 요소와
- 변색과 탈색에 강하고 변형이 잘 되지 않는 점과
- 불연 성능으로 화재에 강하다는 것입니다.
각상 작업이 미진한 부분에 대해 어제에 이어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sh9n/btrZ7rKHna2/C6zbEayVNhIUfnyySe7NdK/img.jpg)
창호 주변 마감재 부착을 위한 추가적인 상 작업 및 후레싱 작업 모습
세라믹 사이딩은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정해진 크기의 패널을 한 장씩 붙이는 방식으로 시공되는데,
벽체 중간에 존재하는 창문의 경우에는 패널을 일부 잘라내야 하기 때문에 전용 클립을 이용해 고정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창호 주변에는 별도의 상 작업을 하고, 여기에 별도의 스페이서와 전용 고정못을 이용하여 부착해야 합니다.
건물 내부에서는 천장과 벽체에 수성연질폼으로 내부 단열재 시공이 진행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pEyh/btrZ2yKReRV/Fh2Cr0AZbTx11UKmc31nmK/img.jpg)
수성연질폼 시공 모습
![](https://blog.kakaocdn.net/dn/slCz0/btrZ77LVNKj/3y6VNvwkOFZZZinKjAS6f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9fYQg/btrZV8yYVzG/3KPzTSSssF31VGU7dKTqLK/img.jpg)
다년간의 시공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수성연질폼 시공팀답게 깔끔하면서도 빈틈없이 시공을 진행하였습니다.
수성연질폼이란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발포시키는 단열재입니다.
수성연질폼은
- 분사 방식을 이용하므로 구석구석의 틈까지도 매울 수 있으며
- 발포되어 충진되면서 움직임이 없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어
기밀과 단열, 차음 성능을 높여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오늘의 시공은 여기까지입니다.
2/21(화)까지는 휴무가 예정되어 있어 주변 정리 정돈을 신경써서 끝마쳤습니다.
22일 수요일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fApI/btr0aUkOxDs/FP7kv8NpqAG4kl7eT6ZPCK/img.gif)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