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DSzNd/btsFCeKjQ4P/AGszpoxSOSFADBIgyYTXIk/img.jpg)
날씨: 흐림
-금일 근무자
팀 장 : 정수호 (8시간)
부팀장: 손호현 (8시간)
팀 원 : 천영환 (8시간), 김종협 (8시간), 황근하 (8시간), 최정현 (8시간)
지 원 : 이상민 (8시간), 정태영 (8시간), 문병선 (8시간)
금일품수 (누계) : 9.0 품 (총 18.0 품)
금일 작업 현황
- 헤더(Header) 제작
- 코너(Corner) 및 배커(Backer) 제작
- 플레이트(Plate), 스터드(Stud), 장선(Joist) 및 림(Rim) 재단
- 벽체 조립 및 세우기
- 홀다운 디바이스(Hold-Down Device) 시공
- 윈도우씰(Windowsill) 및 크리플 스터드(Cripple-stud) 재단
- 윈도우씰 및 크리플 스터드 시공
다음 예정작업
- 플레이트, 스터드, 장선 및 림 재단 및 시공
- 윈도우씰 및 크리플 스터드 시공
- 벽체 조립 및 세우기
- 가새작업
홍천 두촌 2일차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본격적으로 벽체조립에 돌입할 생각을 하니 아침부터 기대감에 설레였는데요,
못박기부터 망치질까지 공정 하나하나 꼼꼼하게 시공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홍천 두촌면에서의 2일차 일정을 시작합니다.
오늘부터 벽체 조립 및 세우기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간략히 벽체의 구성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fSsAW/btsFCfoVuaK/o2Z4bJgdZVwDkgFeYBf2w1/img.jpg)
벽체의 구성
- 바텀 플레이트(Bottom plate): 벽체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하는 플레이트
- 스터드(Stud): 벽체의 수직부재
- 트리머(Trimmer): 바닥,벽,지붕의 개구부를 양끝에서 지지하기위해 설치하는 수직부재
- 백커(Backer): 벽받침, 벽이 부착되는 위치에 결합되는 스터드
- 코너(Corner): 두벽이 만나는 모서리에 받침을 위하여 "ㄴ"자 또는 "ㄷ"자형으로 못질되어 결합된 스터드
- 크리플 스터드(Cripple Stud): 벽개구부의 위 또는 아래에 설치하는 짧은 스터드
- 윈도우 씰(Window Sill): 창의 개구부 하단에 설치하는 수평부재
- 탑 플레이트(Top Plate): 벽체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하는 플레이트
- 더블탑 플레이트(Double top plate): 탑 플레이트 위에 수평으로 한겹 더 설치하는 플레이트
- 헤더(Header): 바닥,벽,지붕 등의 개구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수평부재
- 개구부(Opening): 벽체에 창문이나 문 등을 설치하기 위해 만든 열린 공간
오늘은 어제부터 진행된 헤더제작을 마무리하였습니다.
헤더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부재로, 외벽 헤더의 경우
내부에 단열재로 EPS와 폼을 충진하여 제작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I7Dk/btsFyyp8eto/kYPEvek7BIpL1KDEk8Sm6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aNSZA/btsFAjeLLeO/fkHcnRK1rbra1nYf2iT0r1/img.png)
벽체 구성요소 중 백커 및 코너 역시 제작하였습니다.
특히 외벽과 내벽이 맞닿는 부분은 단열성능 및 단열시공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어드벤스드 백커(Advanced Backer) 형태로 제작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N6E8m/btsFCejfKlI/vMRakjEKx3xjC1FZPn5a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S1u8W/btsFA7Zlc2K/kObyC57SnwMziGJIY4zROK/img.jpg)
내벽 백커 및 외벽 어드벤스트 백커
헤더와 백커를 결합한 후 벽체를 세웠습니다.
벽체를 세울 때에는 토대와 벽체 바텀플레이트 사이에 이물질이 없도록 토대를 말끔하게 정리하여야 하고
각 벽체 간 결합이 공고한지, 벽체 수직은 잘 맞는지 꼼꼼하게 점검하여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CEv1/btsFBMAEdBj/9WpA6WRnRWueK0fJqxjOQ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J29T/btsFB5fF5KX/7T38y6dAMm6R4me5FTKS2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DKM3/btsFyOsPefR/OrNzOcTGtNuUViKjgMQWe1/img.jpg)
벽체를 세운 후 기초에 미리 설치되어있던 앵커볼트(Anchor bolt)에
사각 와셔와 너트를 결합하여 기초부터 토대, 플레이트까지 결합시켜줍니다.
이 때, 기밀성능 향상을 위하여 앵커볼트 자리에 폼을 충진시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ZBrC/btsFABTM9qg/B3K8YgCygmSxkaKShXDPg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rGQzb/btsFygb2Bq7/QGi2WARweVRtapUMqMhnY1/img.png)
출처: Hold-Down 철물 제조사(SIMPSON Strong-Tie)
앵커볼트는 지진이나 태풍 시 강한 수평하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과 기초를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xwZb/btsFzaP0XwZ/glCqV5XFpoI2m3a3uWRq9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znfA/btsFzc1gS3I/TYkhOaRCDX3k1pghRcJn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OBvr/btsFyNtTkD8/Ka4Ouxbg6rR9Y7YmUU0uW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0sH7O/btsFyc1Lk3S/Voud8s974ZMrJcxwQkkNEK/img.jpg)
이어서 홀다운 철물(Hold-down device)을 시공하였습니다.
홀다운 철물은 지진이나 태풍으로 인해 강한 수평하중이 발생할 경우
집이 전도(Overturning)되지 않도록 집과 기초 간 결합을 강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철물인만큼 제조사 가이드를 준수하여 시공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pVyp/btsFA8KHnzC/qXnatXf7QjnUWPDi4Oljmk/img.jpg)
출처: Hold-Down 철물 제조사(SIMPSON Strong-Tie)
지진이나 태풍으로 발생하는 강한 수평하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3가지 현상 중
슬라이딩, 전도현상 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홀다운 디바이스 시공을 오늘부터 진행하였고,
나머지 전단(Racking)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벽체 합판시공 역시 금주 중 진행될 예정입니다.
크리플 스터드 시공도 오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vdwG/btsFCDwkAom/HmWQPdJXVfItgzX1mtjO0K/img.jpg)
오늘은 일하기 좋은 날씨였던만큼 즐겁게 일하며 벽체시공 공정의 약 80%를 완료하였습니다.
푹 쉬고 내일 또 힘찬 모습으로 현장에서 인사드리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ZyTLk/btsFy7FO1iS/Apn41koNJpOrwDy3Fq12A1/img.jp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