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 송내동 안골의 낙원 신축현황
▶ 날씨 : 맑음
▶ 금일근무자
팀 장 : 정 지 원(9H)
부팀장 : 오 경 택(9H)
팀 원 : 강 재 성(9H), 오 창 훈(9H) , 최 승 현(9H)
지 원 : 문 성 일(9H)
▶ 금일품수(누계) : 6.75품(총 32.38품)
▶ 금일작업현황
- 장선 시공
- T&G합판 시공준비
▶ 다음예정작업
- T&G합판 시공
- 2층 플레이트 Lay-out
- 2층 벽제시공
- 2층 벽체
- 방통 블러킹
오늘도 안골의 낙원은 안전하고 꼼꼼하게 시공을 이어갑니다.
장선이 부담해야 할 하중의 크기가 동일하다 할지라도 장선의 경간(장선의 바닥하중을 지탱하는 벽체간 거리)이 크면 장선이 부담해야 할 휨모멘트는 그에 비례하여 커집니다. 따라서 장선 경간이 클수록 장선을 촘촘히 시공(24인치 간격 -> 16인치 간격)하거나 나비가 큰 부재(2*10 --> 2*12)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국제건축구조기준인 IRC(International Residential Code)와 한국 건축설계 구조 기준 제8장(목구조 부분)은 경간의 크기에 따라 어떤 규격의 장선을 얼마의 폭으로 시공해야 하는지 경간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온돌 난방을 위하여 방통을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기존의 생활하중 + 자중(장선의 무게, T&G의 무게)에 더하여 방통의 하중을 고려하여 시공하여야 합니다.
저희 수호천사 하우징은 방통의 하중을 고려하여 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바닥장선을 시공하고 있습니다(http://www.canadawood.or.kr/services/qs-details.php?p=1187 참고)
장선을 완료하고 블로킹(보막이) 작업중입니다.
블로킹은 구조를 보강(구조 블로킹)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옆 공간(예컨대 방에서 거실)으로 화염이 퍼지는 것을 지연(Fire 블로킹)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공합니다.
구조 블로킹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경량목구조에 쓰이는 부재인 2*6(벽체를 구성하는 샛기둥(stud)의 부재), 2*10(장선이나 서까래 부재), 2*12(장선 부재) 등은 부재의 단면이 각각 38*140, 38*235, 38*286(단위는 mm)이어서, 나비가 두터운 쪽으로는 휨에 저항하는 능력이 크지만 38mm 방향으로는 쉽게 휘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부재의 길이가 긴 경우 더 그러한데, 구조 블로킹은 샛기둥이나 장선, 서까래 부재와 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시공되어, 부재가 옆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웃한 부재들끼리 일체화시켜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바닥합판 부착뒤에 단열작업하기 어려운 곳들은 미리 'EPS와 우레탄폼' 채웠습니다
내일 2층 장선 t&g 합판 시공할 예정입니다 .
댓글